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11. 17. 목요일
10:30 - 12:20
  • Keynote
  • A타워 Creative Hall
12:30 - 13:30
  • 점심식사
  • A타워 구내식당 (지하1층)
13:30 - 14:10
  • Tizen .NET (Transition of Tizen Developer Environment)
  • Platform
  • A타워 Creative Hall
  • Tizen의 신규 개발 언어로 도입되는 C#의 도입 배경과 주요 컴포넌트인
    .NET Core, Xamarin.Forms, Tizen SDK for Visual Studio에 대하여 소개합니다.
    이성재 이성재삼성전자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에서 런타임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 경량 JavaScript 엔진인 JerryScript와 IoT.js를 개발 하였고,
    현재 .NET on Tizen의 개발자로 .NET Core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ARM용
    CoreCLR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승근 이승근삼성전자

    삼성전자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타이젠 플랫폼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Core API 및 Web API 개선 업무를 주로 하였으며
    현재는 타이젠 앱 개발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 IoTivity Big Picture
  • IoT
  • D타워 Frontier Hall
  • 글로벌 IoT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IoTivity에 대해서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무엇을 할 수 있고, 앞으로의 방향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IoTivity 개발에 참여하는 방법에 대하여 함께 얘기하고자 합니다.
    정명기 정명기삼성전자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에서 IoT protocol S/W 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면서 요구되는 효율적인 메시징 방법과 이와 함께
    가치있는 컨버전스 서비스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IoTivity를 통해 실증하고 있습니다.

14:20 - 15:00
  • 오픈소스 기반 제품 개발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
  • Platform
    IoT
  • A타워 Creative Hall
  • 오픈소스 기반 플랫폼과 컴포넌트를 사용해서,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관리 및 실행할 수 있는지를, 자동차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예제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김태용 김태용윈드리버 시스템스

    윈드리버 시스템스에서 오토모티브 소프트웨어 서비스 팀을 이끌고 있으며, 보다 짧은 시간 내에 보다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개발하는 것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갖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 IoTivity 기반 헬스케어 디바이스 구현사례 및 이슈
  • IoT
  • D타워 Frontier Hall
  • 본 발표에서는 OCF에서 개발 중인 헬스케어 표준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IoTivity, 아두이노
    Due 및 eHealthkit을 활용하여 개발한 IoT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안드로이드 앱 사례를
    소개합니다. 또한 이를 개발하면서 알게된 IoTivity 이슈를 소개합니다.
    마지막으로 OCF 헬스케어 표준화 방향 및 개발 계획을 소개합니다.
    이원석 이원석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현재 ETRI 표준연구센터 서비스표준연구실에서 IoT 관련하여 OCF 헬스케어 표준화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또한 W3C 커넥티드카 관련 표준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에 관심이 많으며 특히 IoTivity와 GDP(GENIVI Development Platform), AGL(Automotive Grade Linux) 프로젝트에 관심이 많습니다.

    이주철 이주철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현재 ETRI 표준연구센터 서비스표준연구실에서 OCF 관련 표준화 및 IoTivity 관련 개발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같은 경량디바이스에 IoT 플랫폼을 적용하기 위해 BLE와 같은 저전력 통신 프로토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15:00 - 15:20
  • 휴식
15:20 - 16:00
  • 크로스 플랫폼을 품은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NET Core
  • Platform
  • A타워 Creative Hall
  • .NET Core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미래를 담당할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Windows/Linux/Mac은 물론이고, Android/iOS등의 모바일 플랫폼, 이제 Tizen까지 그 범위를 확장한 차세대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인 .NET Core를 중심으로 탄생배경과 현재 그리고 그 가능성에 대해서 Demo와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김명신 김명신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을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올바르게 이해하고 사용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 및 플랫폼 총괄 부서의 수석 에반젤리스트로 일하고 있다. 이전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아태지역 글로벌 핵심 개발자 지원팀 수석 엔지니어였으며, 다년간 C++과 C# 분야의 Microsoft MVP이기도 하였다. Advance C Programming, Unix System V등을 집필하고, Effective C#, Windows via C/C++, CLR via C#, 마스터링 Microsoft Azure IaaS, Azure Essential을 번역하기도 하였다. 분산 컴퓨팅 아키텍처, 대용량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방법론, 소프트웨어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두루 관심이 많고, 개발자 대상의 다양한 컨퍼런스에 단골 발표자로 참가하고 있어서 쉽사리 만나볼 수 있는 쉬운 남자다. 최근에는 폴리글랏의 유행에 편승하여 이런저런 언어들을 다시 공부하고 있다. 내일부터 운동해야지 라는 말을 10년째 반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30년간 공부한 걸 어디다가 써먹을 수 있을지 다시금 고민을 시작하였다.

  • Tizen on ARTIK
  • Platform
  • D타워 Frontier Hall
  • ARTIK의 Powerful Computational HW 기능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Tizen Platform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며, ARTIK Cloud를 활용해서 센서 디바이스를 쉽게 연동할 수 있는 Sample App에 대해 소개합니다.
    박지환 박지환삼성전자

    삼성전자 SW Center에서 Tizen Platform 개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술의 OS인 Tizen을 개발한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더 많은 곳에서 활용하고 많은 분들이 같이 개발할 수 있는 좋은 Platform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16:10 - 16:50
  • 개발자가 행복해지는 애자일 - Gear App 적용사례
  • Lightning Talk
  • A타워 Creative Hall
  • 우리의 생활에서 소프트웨어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 중 애자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세션에서는 프로세스 중심의 애자일을 도입하면서 겪었던 효과와 한계점들을 소개하고 이를 더 발전 시키기 위하여 Engineering 측면과 조직 구성측면에서 어떤 변화를 추구했는지를 Wearable 웹앱을 개발했던 스토리와 경험담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김수현 김수현삼성전자

    김수현 책임연구원은 현재 삼성전자 Agile Process 사무국에서 Scrum Master 및 Agile Coach 그리고 Agile Evangelist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최근 Agile의 한분야인 XP의 Practice 들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강석현 강석현삼성전자

    강석현 책임연구원은 현재 삼성전자 Software R&D Center의 S/W Platform Team에서 Tizen Web Application을 담당하고 있다. 삼성전자 입사 전에는 농촌진흥청, 국방부 등의 정부기관 모바일 개발 프로젝트의 리더를 담당하였다. 흑백단말기부터 최근에 스마트폰까지 10년 넘게 모바일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개발 이외에도 기획,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많다.

  • 오픈소스에서의 취약점과 보안
  • Compliance / Security
  • D타워 Frontier Hall
  • IoT, Cloud, BigData, Mobile 그리고 Connected Car 라는 단어들이 우리에게 익숙해지듯이 Open Source의 사용도 늘어나고 안타깝게도 Security와 보안 취약점도 Open Source분야에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3~4년전부터 보안취약점에 조그마한 변화가 시작되었는데 그것은 취약점 중에서 Open Source에서 발견되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2014년에는 발견된 취약점 중에서 Open Source와 관련된 것이 50%가 넘었습니다. 이 세션에서는 Open Source사용에 따른 위협 동향과 관리적인 측면에서 대책을 소개하겠습니다.
    박지환 조시행(주)인사이너리(Insignary)

    안랩에서 연구소를 맡아 18년간 근무하면서 연구소장 및 CTO를 역임했으며 V3로 대표되는 안티 바이러스 제품 개발에 기여하였다. 이제는 인사이너리라는 회사에서 Binary코드만으로 Security와 Compliance 문제를 검증하는 Software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오픈소스가 더욱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로 지금까지의 보안 경험을 통해 기여하고 싶다.

11. 18. 금요일
10:00 - 10:40
  • 오픈스택을 통해 살펴보는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 Cloud / Big Data
  • A타워 Creative Hall
  • 2010년 7월 Rackspace사와 NASA부터 시작된 OpenStack 프로젝트는 여러 릴리즈를 거쳐 현재는 커다란 오픈소스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대표적인 클라우드 오픈소스 솔루션인 OpenStack에서 오픈소스 컨트리뷰션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과정을 살펴보면서 어떻게 강력한 오픈소스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지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최영락 최영락오픈스택 한국 커뮤니티 운영진

    오픈스택 한국 커뮤니티에서 스터디 분과 운영진을 맡고 있습니다. 오픈스택 내 번역, 문서화, 그리고 코드 컨트리뷰션을 하고 있으며, 오픈스택 번역팀 PTL (프로젝트 기술 리더), 그리고 Microsoft Cloud & Datacenter Management MVP로서 오픈소스 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지향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인 휴레이포지티브에서 개발을 주업무로 하고 있습니다.

  • 온라인 커머스 서비스 개발기
  • Web
  • D타워 Frontier Hall
  • 오픈소스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통합 포인트 시스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등을 만들면서 느끼고 알게 된 개발적인 이야기와 어떻게 개발을 진행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또한 콘텐츠 서비스나 소셜 미디어 서비스 등과의 구조적인 차이에 대해서도 가볍게 이야기 합니다.
    용영환 용영환서울옥션블루

    서울옥션블루에서 온라인 옥션 서비스를 만들고 있습니다. 효율이 높으면서도 더 잘 만들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에 관심이 많습니다.

10:50 - 11:30
  • 오픈 데이터, 오픈 프로세스, 오픈 서비스를 위한 사물 인터넷 플랫폼
  • IoT
  • A타워 Creative Hall
  •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산업별, 사물별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표준 어휘를 만들고, 또 사물이 만들어 내는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공유하며, 이들 오픈 데이터를 분석하여 만들어진 서비스를 글로벌 하게 등록 및 탐색, 그리고 접근하기 위한 GS1 국제 표준 기반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관해서 커넥티드 카, 헬스케어, 스마트 시티등의 응용 예를 들어 설명합니다.
    김태용 김대영Auto-ID Labs, KAIST

    GS1 국제표준기구의 산하 국제공동연구소인 Auto-ID Labs, KAIST에서 사물인터넷 표준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오픈 데이터, 오픈 프로세스, 그리고 오픈 서비스를 지향하는 데이터 테크놀러지 중심의 GS1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Oliot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통해 구현하고 다양한 산업에 보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디자이너 없이 SpringBoot 프로젝트 제대로 만들기
  • Web
  • D타워 Frontier Hall
  • - jQuery, Bootstrap based j-vascript UI plugin들을 효과적으로 사용 방법.
    - j-vascript UI plugin 입맛에 맞게 튜닝하기
    - Gulp와 SCSS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커스텀 테마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 JSTL2.0 스펙에 맞는 커스텀태그를 활용하여 애플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
    - 1년 넘게 AX5UI와 AXBOOT를 개발하면서 겪었던 재미난 이야기들을 하면서, 누구나 오픈소스 풀스택 프레임워크 개발자가 될 수 있다는 나름대로의 오픈소스 철학을 소개합니다.
    장기영 장기영미래창조과학부 KOSSLAB

    공개SW개발자Lab에서 오픈소스프론티어 3기 전담개발자로 활동중이며 자바스크립트 오픈소스개발 커뮤니티 AXISJ 대표이기도 하다. 자바스크립트 UI 프레임워크 AXISJ를 시작으로 AX5UI, AXBOOT등 다양한 오픈소스를 발표하고 알리는 활동을 하고 있다.
    - 2014 슈퍼개발자 K3 우승(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기능공모전)
    - 2016 미래창조과학부 Open Source Frontier Lab 2기 파트, 3기 전담
    - 2008.09~현재 : AXISJ.com 대표

11:40 - 12:20
  • JerryScript: An ultra-lightweight JavaScript engine for the Internet of Things
  • IoT
  • A타워 Creative Hall
  • JerryScript is a lightweight JavaScript engine designed to bring the success of JavaScript to small IoT devices like lamps, thermometers, switches and sensors. This class of devices tends to use resource-constrained microcontrollers which are too small to fit a large JavaScript engine like V8 or JavaScriptCore. JerryScript is heavily optimized for low memory consumption and runs on platforms with as little as 64KB of RAM. It is actively used in production and already runs on hundreds of thousands of smartwatches!
    Tilmann Scheller Tilmann Scheller삼성전자

    Tilmann Scheller is a principal compiler engineer working in the Samsung Open Source Group. His primary focus is on the ARM/AArch64 backends of LLVM. He has been working on LLVM since 2007 and has held previous positions involving LLVM at NVIDIA and Apple. Within the Open Source Group he also focuses on lightweight JavaScript engines.

  • IoT, 디바이스부터 머신러닝까지 놓치지 않을꺼에요.
  • Platform, IoT
    Machine Learning
  • D타워 Frontier Hall
  • 디바이스로부터 유입되는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하고 처리할 것인지는 IoT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이 세션에서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들을 통해서 빠르고 강력하게 데이터를 분석하고 머신러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예측하는 부분까지 어떻게 연결해서 보여줄 수 있는지 데모를 통해서 보여드릴 예정입니다.
    장기영 김영욱 마이크로소프트

    현재 Microsoft에서 에반젤리스트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War of IT'라는 전쟁사 서적을 집필한 소문난 밀덕이기도 하다. IoT, 클라우드 서비스등의 업무를 맡고 있고 스타트업과 개발자 커뮤니티와 소통하는 데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종 VR 기술을 주말마다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

12:30 - 13:30
  • 점심식사
  • A타워 구내식당 (지하1층)
13:30 - 14:10
  • OSS "개발자"의 Machine Learning 분투기
  • Cloud / Big Data
    Machine Learning
  • A타워 Creative Hall
  • 이번 시간은 "개발자"를 위한 Machine Learning과 예측분석을 알아보는 시간으로, 다양한 예측 분석 시나리오에서 어떻게 Machine Learning의 기본 원칙들을 실제 모델에 적용해 구현하는지 절차를 개발자의 시각으로 알아보고,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과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으로 각각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을 기초부터 진행해 구축하고, 예측 모델을 Restful API로 노출시는 과정에 Python 및 R을 활용하는 데모로 진행됩니다.
    김대우 김대우마이크로소프트

    한국마이크로소프트에서 Technology Evangelist로 근무하고 있으며, NIPA의 2016 공개SW 커뮤니티 지원사업에 선정된 OSS 프로젝트의 Founder/Leader로 다양한 OSS 기술과 Machine Learning 기술을 연구하고 전파하는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 Open Source SDN Platform Toward 5G
  • Cloud / Big Data
    Platform
  • D타워 Frontier Hall
  • 네트워크를 programmable하게 제어하겠다는 SDN 기술은 가장 뜨거운 IT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었고 최근에는 본격적인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본 session에서는 네트워크와 Cloud의 핵심기술인 SDN이 어떻게 Open Source와 함께 성장을 하였고 당사가 5G 및 미래 네트워크 기술을 위해서 Open Source 기반 SDN으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소개를 드리려고 합니다. 함께 공유하고 고민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박지환 박기범삼성전자

    삼성전자 차세대 개발팀에서 SDN 개발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항상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하는 것을 좋아하고, 오픈소스라는 새로운 국경없는 전쟁터에서 협력과 경쟁, 차별화와 개방성에 대해서 꾸준히 고민하고 있습니다.
    - 삼성전자 Software Conference Presenter (2013)
    - 삼성전자 Software Architect (2013~, SDN)
    - SDN/NFV Forum 삼성전자 간사 (2015~)
    - ONOS/CORD 삼성전자 실무대표 (2016~)

14:20 - 15:00
  • Tizen Platform Development Process
  • Platform
  • A타워 Creative Hall
  • 1억 LOC가 넘는 Tizen Platform을 수천명의 개발자가 참여하여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모의 개발에는 어떠한 개발도구와 Process를 적용해야하는지 소개합니다. 그리고 Tizen Platform을 기반으로 새로운 개발을 시도하는 경우에 기존 개발도구들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다룹니다.
    채종우 채종우삼성전자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에서 Tizen Platform 개발에 사용되는 도구와 서비스 개발 및 서버 Infra의 운영을 맡아왔습니다. 지금은 DevOps를 적용하여 개발 서비스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가능케 하고 서버 Infra를 Cloud 환경으로 이전하여 급변하는 프로젝트 환경에도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한 개발환경을 구축하는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 Horn: A System for Parallel Training and Regularizing
    of Large-Scale Neural Networks
  • Machine Learning
  • D타워 Frontier Hall
  • 본 세션에서는 Apache Incubator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는 Horn의 분산 시스템과 neuron-centric 프로그래밍 모델을 통한 유연한 병렬 처리 기법 등을 Distributed Dropout과 RANSAC 알고리즘 사례를 통해 소개합니다.
    윤진석 윤진석삼성전자

    오픈소스 개발자로 Apache Software Foundation 에서 10년 이상 활동 중이며 현재 재단 멤버, Incubator 프로젝트 관리위원, Apache Hama 의장 등을 맏고 있으며, Naver, Korea Telecom, Oracle 등을 거쳐 현재 삼성 소프트웨어센터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15:00 - 15:20
  • 휴식
15:20 - 16:00
  • Linux Kernel (perf) 개발과정과 문화
  • Lightning Talk
  • D타워 Frontier Hall
  • 오픈소스 Linux Kernel에서는 개발이 어떻게 이루어 질까?오픈소스(Linux Kernel) 개발문화, 개발과정등을 Contributor로 활동 중에 겪은 경험을 토대로 보여드립니다.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경험중심의 실제 개발내용을 다루고, 처음 Linux Kernel 개발에 참여한다면 어떤 과정을 거쳐서 PATCH를 적용할 수 있는지 초기 진입장벽을 허무는 작전도 함께 공유합니다.
    송태웅 송태웅미래창조과학부 KOSSLAB

    2014년 첫 commit을 시작으로 Linux Kernel 프로젝트의 성능측정도구 perf 개발에 참여하고 있고, 현재는 미래창조과학부 KossLab(Korean Open Source Software Developers LAB)에 소속 되어 오픈소스 개발에 전담 개발자(Full-time member)로 활동 중에 있습니다.

16:10 - 16:50
  • 코딩 교육 및 기계학습 트레이닝의 분산 처리를 위한 Sorna 오픈소스
    프레임웍
  • Machine Learning
  • A타워 Creative Hall
  • 소르나는 프로그램 코드를 서버에서 실행하고 처리하며 결과를 스트리밍하는 스케일러블한 오픈소스 프레임웍입니다. 소르나를 이용해 코딩 교육용 실습 플랫폼을 만들거나, 보안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그래밍을 위한 컴퓨터 환경을 빠르게 구성하거나 기계학습 모델을 분산 처리를 통해 빠르게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 이 세션에서는 소르나의 개요 및 역사, 구조를 설명하고, 소르나의 사용 예로 코드온웹 플랫폼과 기계학습용 어플리언스를 소개합니다.
    신정규 신정규래블업 주식회사

    복잡계 물리학자. 래블업 주식회사 대표. 텍스트큐브 개발자.

  • Web (Chromium) 최신 기술 동향 및 이에 대한
    Tizen 플랫폼의 Web 최신 기술 지원 방향
  • Web
  • D타워 Frontier Hall
  • 아래와 같은 웹 기술 분야의 최신 표준 동향에 대해 설명하고 삼성의 Tizen 플랫폼에서 이런 최신 웹 기술들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어떤 응용 서비스들을 개발 할 수 있는지 예시를 소개한다.
    - Progressive Web App
    - WebRTC (Web Real-Time Communications)
    - WebVR
    김현준 김현준삼성전자

    삼성전자 SWC Web Platform Lab 소속
    Chromium committer로서 활동
    주요 활동 부분
    +SVG & CSS 표준 구현

    박중헌 박중헌삼성전자

    삼성전자 SWC Web Platform Lab 소속
    Webkit committer로서 활동
    주요 활동 부분
    +EFL 포트
    +CSS 표준 구현